관절치료/무릎관절내시경

반월상연골파열이란 어떤 질환인가요? [하안동정형외과]

광명21세기병원2 2023. 4. 24. 12:03

 

 

안녕하세요 광명21세기병원입니다.

우리 무릎은 나이가 들수록 손상되기 쉬운 구조를 가지고 있어 항상 주의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스포츠 활동 중 가장 손상이 많이 발생되는 부위이기도 한데요.

무릎 관절에는 충격을 흡수하고 관절 움직임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돕는 인대 및 연골 구조물이 있습니다. 이는 너무 과도하게 사용하거나 무릎이 꺾이거나 뒤틀리는 경우 점차 닳고 손상될 수 있는데요.

이 경우 무릎이 불안정해지면서 통증과 기능 제한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예로 십자인대파열, 반월상연골파열이 있는데요. 오늘은 그 중 반월상연골파열에 대해 저희 하안동정형외과 광명21세기 병원과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월상연골파열이란?

우선 반월상연골은 무릎 관절 사이에 존재하는 C자 모양의 연골 구조물입니다. 이는 무릎에 가해지는 체중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관절이 망가지지 않도록 하며 관절이 원활히 움직일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골은 무릎이 잘못 회전되며 관절 사이에 끼어 찢어지게 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연골이 파열되면서 무릎 통증이 나타나는 질환을 반월상연골파열이라고 합니다.

무릎에 발생하는 질환은 나이가 많을수록 나타나기 쉽지만 해당 질환은 젊은 나이에서도 충분히 발생할 수 있으며 질환을 오래 방치하게 되면 무릎 관절의 퇴행성 변화를 앞당겨 관절 손상으로 이어지고 퇴행성 관절염으로도 이어질 수 있어 초기 치료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반월상연골파열의 원인은?

반월상연골파열은 주로 무릎 사용이 잦은 스포츠활동에서 발생하는 편입니다. 특히 축구나 농구, 스키 등의 활동에서 발생하기 쉬운 편으로 무릎을 자주 사용하게 되고 무리한 움직임으로 인해 해당 연골이 쉽게 파열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일상적인 동작에서도 이에는 달리다가 갑자기 멈추는 동작, 급히 방향을 전화하는 동작, 점프 후 잘못된 착지 등이 있습니다.

또한 과체중, 노화에 의해 발생 위험이 높아질 수 있기도 합니다 아까 말했듯 무릎은 다른 관절 부위에 바햐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기도 하기 때문에 어리다고 안심하기 보다 저희 광명하안동정형외과 21세기병원에 내원하시어 초기 적절한 치료를 받아보시는 편이 좋겠습니다.

반월상연골파열의 증상은?

반월상연골이파열되면 무릎 통증과 함께 기능이 저하됩니다. 특히 안정성을 담당하는 연골이 파열됨에 따라 무릎이 불안정해지면서 다양한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로인해 오래 걷기가 힘들어지면서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다면 반월상연골파열을 의심해보시고 서둘러 저희 광명 하안동정형외과 21세기 병원을 찾아주시기 바랍니다.

◎ 무릎에 통증이 지속적으로 나타납니다.

◎ 무릎에 이물감이 느껴집니다.

◎ 오래 걷기가 힘들고 자주 쉬어야 합니다.

◎ 무릎이 불안정해지면서 다리에 힘이 빠집니다.

◎ 무릎을 사용할 때마다 소리가 납니다.

◎ 계단이나 언덕을 오르내리기 어려워집니다.

반월상연골파열의 치료는?

반월상연골파열은 초기에 잘 대처하면 비수술적 치료만으로도 충분히 호전을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저희 광명21세기병원에서는 우선 정밀 검사를 통해 반월상연골의 손상 정도를 살피고 그에 맞는 치료로 증상 개선을 도와드리고 있습니다.

적용해볼 수 있는 치료로는 무릎 관절 안정성을 유지하는 보조기 착용이나 통증을 완화하는 약물치료, 주변 구조물을 강화해주는 주사치료, 움직임을 개선하는 물리치료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치료는 2~4주 정도 경과를 지켜보며 진행하게 되는데 만약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라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해질 수 있습니다.

특히 반월상연골이 완전히 파열된 경우라면 수술적 치료를 진행하게 되는데요. 저희 병원에서는 관절내시경을 이용한 반월상연골판 봉합&절제술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우선 관절내시경이란 무릎이나 어깨 등 관절 부위 질환에 대해 내시경 카메라를 삽입하여 병변 부위를 정확히 살피며 그에 맞는 치료를 진행하는 방법으로 반월상연골파열의 경우 연골 파열에 따라 봉합하거나 봉합이 어려운 경우 손상된 연골을 일부 절제하는 수술이 진행됩니다. 최대한 기존 조직을 살려 진행하는 것이 좋기 때문에 관절내시경으로 진행된다는 큰 이점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