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절치료/어깨관절내시경

오래 지속되는 어깨와 팔 통증, 오십견으로 /소하동정형외과/

광명21세기병원2 2020. 9. 18. 17:41

오래 지속되는 어깨와 팔 통증, 오십견으로 /소하동정형외과/

 

 

 

어깨는 우리 신체에서 유일하게 360도 회전이 가능한 관절로, 하루에 수천 번 이상을 사용할 만큼 활동 범위가 넓습니다. 일상생활 속 많이 사용하고 있는 만큼 노화가 쉽게 진행되면서 약해져 다양한 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2015년 약 200만 명에서 2019년 약 236만 명으로 약 18%가 증가했다고 합니다. 연령별로는 50대 환자가 70만 명으로 전체 환자의 29%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노화에 따른 대표적인 어깨 질환은 오십견으로 어깨 관절의 통증과 운동 제한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질환입니다. 자료처럼 50대 이후 환자가 많지만 최근 잘못된 자세 및 습관으로 나이게 관계없이 누구에게나 나타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오십견이란, 어깨를 둘러싸고 있는 관절막의 염증으로 관절막이 두꺼워지고 탄력성을 잃게 되어 통증과 운동 제한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유착성 관절낭염이라고도 합니다. 이는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지만 회전근개 질환이나 노화로 인한 퇴행성 변화, 어깨 외상 등이 영향을 미쳐 동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최근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잘못된 자세와 생활습관인데요, 어깨에 부담을 줄 수 있는 동작의 반복과 과도하게 어깨를 사용하는 스포츠 활동을 즐기는 경우 반대로 운동 부족 등이 있습니다. 특히 스마트폰 및 컴퓨터 등 각종 전자기기를 사용하면서 올바르진 못한 자세가 지속돼 어깨에 부담을 주어 젊은 연령대의 사람들에게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오십견의 증상

오십견이 나타나면 일상생활이 불편할 정도로 어깨에 통증이 나타나고 수동적, 능동적 운동 제한이 나타납니다. 이에 어깨를 안쪽으로 돌리기 힘들어하고 이후 팔을 앞으로 들기 힘들거나 밖으로 돌리기 어려워 세수를 하거나 옷을 입고 벗을 때 동작, 머리를 빗는 등의 동작에 제한이 나타납니다. 이처럼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증상이 점점 악화될 경우 어깨가 아픈 쪽으로 눕기 힘들고 야간에 통증이 극심해 잠을 제대로 이루기 어려워 수면 장애까지 유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증상을 방치할 경우 어깨가 점점 굳어지며 움직이지 않아도 극심한 통증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소하동정형외과 광명21세기병원에서 알아보는 오십견의 효과적인 치료법

오십견의 증상이 경미하거나 초기에 발견하여 치료에 임할 경우 약물치료, 물리치료, 주사치료 등 보존적인 치료로 충분히 호전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미 증상이 악화되었거나 보존적인 치료에도 증상에 개선이 없다면, 어깨 관절내시경과 같은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합니다.

어깨 관절내시경은 관절 부위에 조그마한 구멍을 만든 후 2~5mm 정도의 관절경을 넣은 뒤 관절 내부의 문제를 진단하는 동시에 치료하는 수술 방법입니다. 의사가 직접 상태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손상 정도에 따른 적절한 수술이 가능하며 미세한 손상 부위까지 치료가 가능합니다. 또한, 수술 절개 부위가 작아 통증 및 출혈이 적으며 수술 후 후유증 거의 없어 회복이 빠른 편에 속합니다.

 

 

 

 

오십견과 같은 어깨 질환뿐만 아니라 무릎, 족부 등 다양한 관절 질환에 적용할 수 있으며 관절경을 통한 진단 확진율은 98%에 가까울 정도로 섬세한 치료법이라 할 수 있으며 재발까지 막을 수 있습니다.

오십견과 같은 어깨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자신의 생활습관과 자세

를 개선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어깨를 과도하게 사용하는 스포츠 활동을 자제하고 무리한 동작은 삼가야 합니다. 또한, 어깨를 포함한 관절 스트레칭을 꾸준히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절한 운동을 통해 어깨 주변 근육을 강화해야 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증상이 나타났을 때 조속히 병원을 찾아 적극적인 치료에 임하는 것입니다.

 

 

 

 

소하동정형외과 광명21세기병원에서는 1:1 상담을 세밀하게 진행하여 환자의 특이사항을 고려해 치료에 대한 불안감을 줄여드리고 있습니다. 또한, 영상의학과 전문의와 내과 전문의,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 협진을 통해 통증을 최소화하고 안전한 치료를 진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