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절치료/무릎관절내시경

광명정형외과, 반월상 연골판이 파열되거나 찢어지는 질환.

광명21세기병원2 2020. 1. 13. 13:27

광명정형외과, 반월상 연골판이 파열되거나 찢어지는 질환.




방치할경우 연골의 보호기능이

약해지거나 없어져 무릎 관절의

외상 후 관절염을 일으킬 수 있는

질환은?



바로 반월상 연골손상입니다!

반월상 연골은 무릎 관절 사이에 있는 반달 모양의

섬유성 연골로, 관절 안쪽과 바깥쪽에 하나씩 있습니다.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해주며, 충격을 흡수해 주고,

관절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여주며 관절액을 골고루

분포시켜 윤활 작용을 해줍니다.

반월상 연골은 허벅지뼈와 종아리 뼈 사이에 있는

초승달 모양의 연골판으로 충격을 완화시켜주고

관절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분산 하는 역할하는

이 반월상 연골판이 찢어지거나 파열되는 것을

반월상 연골 손상이라고 합니다.


반월상연골판은 20대에서 40대사에서 흔하고,

남자가 2.5배~4배정도 여성보다 많이 발생

합니다.

이러한 반월상 연골손상의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연골판이 노화로 인해 약해지면서 쉽게 파열

2. 연골판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면서 파열

3. 선천적 연골판 기형인경우

4. 무릎의 인대가 손상되어 무릎 내 불안정성이

있는 경우, 비틀리는 자세를 많이 하는 경우


반월상 연골의 증상으로는 무릎의 통증 및 붓는

증상외에도, 무릎에서 걸리는 느낌이 드는 포획

및 무릎이 완전히 펴지지 않는 잠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1. 무릎 관절의 통증과 무릎 태 부종

2. 무릎에서 딱딱 거리는 마찰음

3. 무릎이 빠진다는 느낌이나 잘

맞지 않는 느낌

4. 평지는 걸을만 하지만 계단을

내려오는 것이 힘듬

                   

반월상연골손상은 증상이 경미하다면 운동치료,

약물치료, 물리치료 등으로 증상의 호전을 기대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증상이 심하다면 수술적인 치료를 진행

해야합니다.

수술적 치료법으로는 무릎관절 내시경이 있습니다.

반월상 연골 손상은 연골의 손상이 빠르게 진행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관절내시경을 이용한 치료가 필요

합니다.

무릎관절 내시경은 1cm 미만의 최소절개를 통해

관절내시경과 특수기구를 삽입하여 시행하는 치료

이기 때문에 기존 수술 치료보다 부담이 적을 뿐만

아니라 방사선 사진으로도 안 보이는 곳까지 쉽게

확인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하고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할 수 있습니다.

수술 절개 부위가 작아 일상으로의 복귀가 빠르며

수술후 통증이 적고 출혈이 적어 감혐의 위험이 적다

는 장점이 있습니다.

반월상연골손상은 정상체중을 유지하고 잘못된 자세,

무리한 동작의 반복 등을 개선하여 관절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평소에 스트레칭과 근력운동을 꾸준히 하여 이러한

반월상 연골파열을 예방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