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치료

광명허리디스크 찌릿한 허리통증 대처하는 비수술 방법으로

광명21세기병원2 2024. 5. 28. 10:57

광명허리디스크 찌릿한 허리통증 대처하는 비수술 방법으로

안녕하세요 광명에서 허디디스크 치료하는 광명21세기병원입니다.

 

날이 적당히 시원하고 따뜻해서 야외로 나가고 싶은 날들이 계속되는데요. 잔디밭에 돗자리를 펴고 앉아있거나 누워 있으면 딱 좋을 날씨입니다. 하지만 많은 직장인들은 이런 날씨에도 실내에 앉아 일하는 분들이 많겠죠. 오늘 하루도 파이팅하시길 바라며, 직장인들을 비롯한 현대 사회의 고질병 허리통증과 허리디스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허리디스크는 척추뼈 사이에 있는 말랑하고 탄성이 있어 젤리같기도, 고무같기도 한 연골 조직을 지칭하는 단어입니다. 여러 척추뼈가 모여 있는 척추의 특성상 뼈끼리 서로 부딪히기 쉬운데, 뼈가 서로 부딪혀 손상되지 않도록 이 디스크 구조물이 막아주기도 하고, 외부의 충격을 완화해주는 역할을 하기도 해요. 디스크는 영어지만 한국어로는 추간판이라고도 하죠.

우리가 허리디스크라고 알고 있는 질환의 정확한 병명은 요추 추간판 탈출증으로, 추간판이 원래 있어야 하는 자리에서 밀려나와 주변의 신경을 눌러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을 말합니다.

 

척추를 지나는 신경은 사지 말단부터 뇌까지 길게 연결되어 있으며, 신경의 위치에 따라 각각 연결되어 있는 부위가 다른데요. 그래서 허리디스크에 의해 신경이 눌렸다면 그 압박 위치와 정도에 따라 통증의 위치와 강도가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직접적인 허리통증 외에 다리 저림과 하지방사통 등이 생길 수 있어요.

그래서 광명허리디스크 병원에서 알려드리는 증상에는 크게 허리통증과 하지방사통이 있는데요. 다음과 같은 증상이 생긴다면 허리디스크를 의심해보고 정형외과에 내원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시길 추천해드립니다.

 

  • 2주 이상 찌릿한 허리통증이 지속된다.
  • 허리를 앞으로 숙였을 때 통증이 심해진다.
  • 엉덩이부터 다리가 저리고 힘이 빠지는 느낌이 든다.
  • 쉬면 증상이 호전되지만 다시 활동하면 증상이 악화된다.

 

허리디스크 증상이 심화되면 저릿한 신경학적 증상이 계속 악화하여 다리의 감각 저하가 심하게 나타나고, 다리 마비나 대소변장애 등과 같은 증상이 발생할 수 있어 빠르게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했어요

 
 
 
 

광명허리디스크가 발생하게 되는 원인으로는 크게 노화로 인한 퇴행성 변화와 잘못된 자세, 습관 등이 있는데요. 두 요인의 공통점은 허리에 무리가 된다는 것으로, 특히 노화로 인한 퇴행성 변화는 실제로 과거에서부터 계속되어 온 원인입니다. 노화에 의해 약해진 척추 구조물은 탄성을 잃으면서 손상을 입기 쉬워지는 것이죠. 하지만 이러한 척추 구조물의 약화는 노화 뿐만이 원인이 아닙니다.

 

다리를 꼬거나 걸터앉는 것과 같이 척추에 부담이 되는 자세는 척추 구조물의 압박이 될 수 있고, 무거운 물건을 들고 운동을 과하게 하는 것 또한 척추의 부담이 되어 척추 구조물이 손상되어 허리디스크로 이어질 수 있었어요. 사고와 같은 큰 충격도 역시 척추가 손상되어 허리디스크로 이어질 수 있어요.

 

 

이렇게 의심되는 허리디스크는 MRI를 통해 신경의 돌출 정도를 살펴보고 진단할 수 있으며, 80% 정도는 비수술적인 방법으로 호전을 기대해볼 수 있어요. 광명허리디스크 수술이 필요한 경우는 디스크 구조물이 많이 찢어졌거나, 통증으로 인해 일상 활동이 어려워지는 경우, 그리고 신경학적 증세가 심해 다리 마비나 대소변장애로 이어진 경우 등이 있습니다.

 

 
 

허리디스크에 대처하기 위한 비수술 치료 방법으로는, 크게 보존적인 치료와 시술적인 치료로 구분할 수 있는데요. 대개 보존적 치료를 우선적으로 시행하고, 이에 효과가 없다면 시술 치료를 통해 통증 개선을 도모합니다. 보존적 치료로는 휴식과 통증 완화를 위한 약물, 주사치료가 있고 도수치료를 통해 틀어진 척추를 개선하고, 뭉친 조직을 풀어주어 증상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시술적 치료는 통증이 있는 척추 구조물 주변으로 주사를 삽입해 신경 유착 및 염증, 부종을 가라앉힐 수 있는 약물을 주사해 통증의 원인이 되는 부위를 해소함으로써 증상을 개선할 수 있는 비수술 치료입니다.

 

대표적으로 신경차단술이 있는데, 영상유도장치인 C-arm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으로, 카테터에 달린 내시경카메라가 실시간 모니터링을 가능해 치료의 정확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으며,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