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수술치료/통증치료

철산무릎통증, 운동이나 부상으로 인해 많이 발생하는 질환은?

광명21세기병원2 2019. 8. 7. 14:32

철산무릎통증, 운동이나 부상으로

인해 많이 발생하는 질환은?



바로 무릎인대 손상입니다!

만약 무릎에서 찢어지는 느낌이 드시거나,

뚝하고 끊어지는 소리가 나셨나요??

이러한 증상을 느끼신적이 있다면

무릎인대손상의 증상으로 의심할수

있습니다.

이러한 무릎인대 손상은 운동이나

부상으로 인해 많이 발생하는데요,

무릎인대에 힘이 가해지거나 회전력에

의해 손상이 일어나면 인대가 늘어나긴

하지만 고무줄처럼 탄력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한계를 넘어서면 뚝 끊어져 정상적인

기능을 못하게 됩니다.


우리의 무릎관절을 지탱해주는 인대는

좌우를 탄탄하게 연결해주는 측부인대와

무릎관절 깊숙한곳에 있는 십자인대가

있습니다.

십자인대는 무릎의 가운데 위치해서 서로

X자 모양으로 교차해서 대퇴골과 경골을

서로 연결하고 있으며 무릎이 앞뒤로

흔들리지 않고 정해진 궤도를 따라 관절이

움직일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측부인대는 관절의 안쪽과 바깥쪽에 위치해

내측부 인대는 대화골과 경골을 와측부인대는

대퇴골과 비골을 이어주어 무릎의 가로방향

운동을 안정시켜 주고 바깥쪽으로 무릎이

꺾이는 것을 막아 주는 역할을 합니다.


무릎인대 손상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전방십자인대

가운데 십자 형태로 있는 가장 중요한

인대 중 하나로 +자형으로 되어 있으며

무릎이 바깥쪽으로 꺾이는 것을 막아주는

인대입니다.

2. 후방십자인대

가운데 십자 형태로 있는 가장 중요한

인대 중 하나로 X자형으로 되어 있으며

무릎이 바깥쪽으로 꺽이는 것을 막아주는

인대입니다.

3. 내측측부인대

무릎을 단단하게 연결해주는 조직으로

무릎이 마주 닿는 방향 쪽의 인대를 말합니다.


이러한 무릎인대는 일부만 끊어질 수도

있고, 완전히 끊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인대가 끊어진 줄 모르고 무리하게

움직이면 갈수록 더 손상되고 주변 연골판

까지 손상되어 만성 관절염으로 진행할 수

있어 위험합니다.

이러한 인대 손상은 단순 방사선 검사만으로는

판별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MRI 정밀

검지을 통해 인대 손상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무릎인대는 손상된 정도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얼마든지 정상적으로 회복할 수 있습니다.

인대 손상이 가벼울 때는 보조기를 차고 목발을

사용해 체중부하를 하지 않는 상태로 약 4~6주간

안정 후 운동치료를 진행합니다.

하지만 완전히 파열되었으면 저절로 붙는 자연치유가

거의 없어 대부분 수술로 치료를 해야합니다.

끊어진 인대 부위를 이어주는 봉합술과 인대자체를

재건해주는 재건술이 있습니다.


이러한 무릎인대 손상은 무리한 활동과 급작스러운

운동을 하면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충분한 스트레칭을 통하여 조기에 예방을 하는

것이 좋으며 특히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무릎통증이 있을 경우 병원을 내원하여

치료하는 것이 좋습니다.